
인사 채용 평가
활동 영역
산업 및 조직심리학을 기반으로 실무 현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은 크게 이러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.
- 신입 및 경력사원 채용/평가 영역
- 임원 평가(AC/DC) 및 코칭
- 면접관 교육 등
에이시지알 사례
㈜ACG®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,
- 기업의 핵심역량 및 직무역량 분석을 통한 선발단계 컨설팅
- 핵심역량 및 직무역량 개발(평가지표 개발)
- 심리검사 도구를 통한 지원자 평가(Biodata Test, Personality Test, Ability Test 등)
-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접 및 반구조화 면접 개발
- Simulation Exercise 과제를 통한 면접 평가(PT 면접, Group Discussion 면접 등)
- 면접관 교육 및 면접관 인증 제도 설계
- AC, DC 를 통한 임원 평가 및 코칭
평가 컨설턴트 필요 역량
기초심리학 이해
인사담당자가 익숙하지 않은 개념 전달 및 평가 체계 구축 지원 하는 컨설턴트이므로
- 성격, 흥미, 동기, 능력 등 심리학 개론에 언급되어 있는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
- 과거 연구부터 현재까지 연구 결과에 대한 이해
- 심리학 용어를 쉬운 용어로 설명하고 설득하는 경험이 필요합니다.
심리검사 개발 경험 및 통계
- 다양한 심리검사를 수행해보고 해석하는 일은 평가 컨설턴트가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수적인 요소라 생각합니다.
- 또한 심리검사가 만들어진 배경과 목적 그리고 개발 과정에 대해 학습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.
- 심리학자 및 평가 컨설턴트로서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제품(평가도구)을 만들어야 하므로 통계가 필수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.
- 심리검사 개발에 필요한 통계적 지식 및 스킬은 대학/대학원에서 가능한 많은 실전 연습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현업 이해
- 교수님과 학,석사 선배들이 소개해 주는 컨설팅업 인턴과 아르바이트를 많이 하는 것이 이 직업에 대한 대략적인 업무 환경, 과정, 필요 역량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- 컨설팅 업체에서 많이 하게 되는 AC와 DC 교육 현장에서 Facilitator 역할을 해보고 그 느낀 점을 바탕으로 평가과제 개발 시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실제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.